내용 |
단종을 폐위하고 세조가 권좌에 오른다. 박중림의 손부는 세조에게 출산을 허락해달라고 요구하자 세조는 아들을 낳으면 죽이고, 딸일 경우는 살려주겠노라고 약속한다. 손부는 아들을 낳았으나 종의 자식과 바뀌치기하여 마침내 아들을 살리고야 만다. 신숙주는 후환의 화근을 없애려고 금성대군에게 왕방연을 보낸다. 왕방연은 고심끝에 어명을 사칭하여 단종에게 사약을 마시게 한다. 의경세자와 왕방연을 죽인 단종은 끝내 신숙주에게 죽임을 당한다. 종이 예종 앞에 와선 바꿔기른 박팽년의 손자를 밝힌다. 예종은 하늘의 뜻이 사람의 의지와 다름을 깨닫고서 그를 살려주고 일산이라 이름 지어준다. |
출연진 |
신숙주-장민호 / 소현왕후-백성희 / 세조(수양대군)-김재건 / 박중림-문영수 / 종부-이승옥 / 정인지-오영수 / 사육신 성삼문-최상설 / 사육신 박팽년·금성대군-이문수 / 사관-우상전 / 정인지 사돈 현씨-서희승 / 혜빈 양씨-이혜경 / 현덕왕후-권복순 / 종-김종구 / 사육신 유성원-이영호 / 왕방연-이상직 / 단종 -서상원 / 의경세자-김진서 / 정인지 둘째 며느리-남유선 / 왕방연 아우·사육신 박팽년-노석채 / 세자(예종)·사육신 유응부-한윤춘 / 성삼문의 처-조은경 / 박팽년의 처-계미경 / 하위지의 처-곽명화 / 유성원의 처-이은희 / 손부-김마리아 / 이 개의 처-황재랑 / 유응부의 처-이지영 / 코러스-오륭, 윤재웅, 정두인 외 객원 / 대금-문형희 / 타악-강준모, 최성무, 김한나 |
스태프 |
예술감독·원작·연출-오태석 / 안무-배정혜 / 음악구성-유영대 / 무대디자인-여운덕 / 분장·장신구디자인-손진숙 / 소품디자인-조은아 / 의상·장신구디자인-이승무 / 조명디자인-아이카와 마사아키 / 녹음지휘-이용탁 / 작창-김형철 / 조연출-적극 / 조안무-김현미 / 통역-우지숙 / 드라마투르기-주혁준 / 책임기술감독-김인철 / 책임미술감독-구재하 / 무대감독-한희태 / 작화-이성현 외 / 무대장치제작-이원영 외 / 음향-남장군 외 / 영상-범기창, 박지용 / 무대기계-이승수 외 / 공연기획단장-손주옥 / 책임PD-권혜미 / 마케팅-정세원, 최홍일 / 기획홍보-신보현, 김효상 / 사진-김찬복 |